본문 바로가기

개인 공부

7/19 화_RPA, 코딩 테스트 연습(Python)

728x90

1.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로보틱 자동화 과정(사람이 반복적으로 처리하는 업무를 로봇 자동화로 하는 것)

 

현재는 데이터 입력 등의 단순 반복 업무 프로세스의 자동화에 주로 적용되고 있지만, 향후 AI, 머신러닝 등의 기술이 발전, RPA와 결합한다면 자료 분석 및 Solution 제시 등의 영역까지도 가능(?)할 수 있음

 

솔루션 - 삼성 SDS의 Brity Works RPA, UI Path, Automation Anywhere, Blue Prism, Softomotive

출처: https://namu.wiki/w/RPA

 

2. 16진수를 입력받아 8진수로 출력

a = int(input(), 16) # 입력된 값을 16진수로 인식해 변수 a에 저장. f
print('%o'%a)        # a의 값을 8진수 형태의 문자열로 출력. 17

 

3. ord( )는 문자 → 정수, chr( )는 정수 → 문자

a = ord(input()) # 문자를 순서를 나타내는 서수(ordinal position)로 변환. A
print(a)         # 65
print(chr(65))   # 정수를 유니코드 문자(chracter)로 변환. A

b = ord(input()) # 문자 → 정수
print(chr(b+1))  # 정수 + 1 → 다음 문자

 

4. 소수점 이하 자리 변환

a = float(input())      # 3.141592
print(format(a, ".2f")) # 3.14 소수점 아래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둘째 자리까지 출력
print('%.2f' % a)       # 위와 동일함
print(round(a, 2))      # 위와 동일함

 

5. 빈 리스트 만들기

a = [0] * -1
print(a) # []

 

6. 비트 단위 시프트 연산자

컴퓨터 내부에는 2진수 형태로 값들이 저장되기 때문에,
2진수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값들을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지정한 비트 수만큼 밀어주면 2배씩 늘어나거나 1/2로 줄어듦

n = 10
print(n<<1)  #10을 2배 한 값인 20 이 출력된다.
print(n>>1)  #10을 반으로 나눈 값인 5 가 출력된다.
print(n<<2)  #10을 4배 한 값인 40 이 출력된다.
print(n>>2)  #10을 반으로 나눈 후 다시 반으로 나눈 값인 2 가 출력된다.

n = 0o10 으로 작성해 넣으면 8진수(octal) 10으로 인식되어 10진수 8 값이 저장되고,
n = 0xf 나 n = 0XF으로 작성해 넣으면 16진수(hexadecimal) F로 인식되어 10진수 15 값으로 저장됨.

 

7. 2의 거듭제곱 배로 곱해 출력

a = 2
b = 10
print(a << b)  #2의 10승(제곱) = 1024

 

8. 비교 연산자

비교/관계 연산자 < (less than sign)는
왼쪽의 값이 오른쪽 값 보다 작은 경우 True(참)로 계산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False(거짓)로 계산함

a, b = map(int, input().split()) # 123 456
print(a<b) # True

 

9. 불 형의 값

bool( ). 정수 값 0은 False(거짓)로 평가되고, 그 외의 값들은 모두 True(참)로 평가됨

참 또는 거짓의 논리 값을 역(반대)으로 바꾸기 위해서 not 예약어(reserved word, keyword)를 사용함

a = bool(int(input())) # 0
print(not a)           # True

 

10. 비트단위(bitwise) 연산자

~(bitwise not), &(bitwise and), |(bitwise or), ^(bitwise xor), <<(bitwise left shift), >>(bitwise right shift)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