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백준 실버 5
양의 정수 n에 대해서 d(n)을 n과 n의 각 자리수를 더하는 함수라고 정의하자.
예를 들어, d(75) = 75+7+5 = 87이다. 양의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이 수를 시작해서 n, d(n), d(d(n)), d(d(d(n))), ...과 같은 무한 수열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33으로 시작한다면 다음 수는 33 + 3 + 3 = 39이고, 그 다음 수는 39 + 3 + 9 = 51, 다음 수는 51 + 5 + 1 = 57이다. 이런식으로 다음과 같은 수열을 만들 수 있다. 33, 39, 51, 57, 69, 84, 96, 111, 114, 120, 123, 129, 141, ...n을 d(n)의 생성자라고 한다. 위의 수열에서 33은 39의 생성자이고, 39는 51의 생성자, 51은 57의 생성자이다. 생성자가 한 개보다 많은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101은 생성자가 2개(91과 100) 있다.
생성자가 없는 숫자를 셀프 넘버라고 한다.
100보다 작은 셀프 넘버는 총 13개가 있다. 1, 3, 5, 7, 9, 20, 31, 42, 53, 64, 75, 86, 97.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셀프 넘버를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백준 4673번 셀프 넘버
# Ver. 1
def d(n):
n += sum(map(int, str(n)))
return n
NonSelfNums = set()
for i in range(1, 10001):
NonSelfNums.add(d(i))
for j in range(1, 10001):
if j not in NonSelfNums:
print(j)
#----------------------------------------------------------#
# Ver. 2
natural_num = set(range(1,10001))
answer_num = set()
for i in range(1,10001):
for j in str(i):
i += int(j)
answer_num.add(i)
real = natural_num - answer_num # 셀프넘버 = 자연수 - 생성자
for i in sorted(real):
print(i)
2. 백준 브론즈 2
N개의 수가 주어졌을 때, 이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백준 2750번 수 정렬하기
# Ver. 1
n = int(input())
nums = set()
for i in range(n):
j = int(input())
nums.add(j)
for k in sorted(nums):
print(k)
#----------------------------------#
# Ver. 2
inp = int(input())
lst = [int(input()) for num in range(inp)]
lst = sorted(lst)
for i in lst:
print(i)
3. 재귀함수
프로그래밍에서 재귀 함수는 어떤 일을 하는 함수를 만들었을 때, 그 함수 안에서 자기 자신을 다시 불러서 함수가 실행되도록 만든 것입니다. 재귀 함수는 이처럼 똑같은 구조의 함수를 반복해서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 적용하는 것입니다.
프로그래밍에 재귀함수를 적용하면 연산식은 재귀함수를 이용하여 연산을 끝없이 반복하게 되지요. 만일 재귀 함수를 이용한 연산을 끝내려면 연산을 끝낼 수 있는 조건인 '탈출 조건(무한 루프 방지)'을 정해주어야 합니다.
4. 백준 브론즈 5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 N이 주어진다. 이때, N!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백준 10872번 팩토리얼
# Ver. 1
n = int(input())
Sum = 1
for i in range(1, n + 1):
Sum *= i
print(Sum)
#--------------------------------------#
# Ver. 2
def factorial(n):
if n > 1:
return n * factorial(n - 1)
else:
return 1
n = int(input())
print(factorial(n))
#--------------------------------------#
# Ver. 3
def factorial(a):
if a == 1:
return 1
return a * factorial(a - 1)
a = int(input())
print(factorial(a))
728x90
'개인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8/1 월_re 모듈, translate 메서드, 정규표현, range, 코딩 테스트 연습(Python) (0) | 2022.08.02 |
---|---|
7/31 일_코딩 테스트 연습(Python) (0) | 2022.07.31 |
7/22 금_코딩 테스트 연습(Python), 차원의 저주, Robust Scaler (0) | 2022.07.23 |
7/19 화_RPA, 코딩 테스트 연습(Python) (0) | 2022.07.20 |
7/17 일_코딩 테스트 연습(Python) (0) | 2022.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