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 목_코딩 테스트 연습(Python)
1. 백준 실버 5 양의 정수 n에 대해서 d(n)을 n과 n의 각 자리수를 더하는 함수라고 정의하자. 예를 들어, d(75) = 75+7+5 = 87이다. 양의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이 수를 시작해서 n, d(n), d(d(n)), d(d(d(n))), ...과 같은 무한 수열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33으로 시작한다면 다음 수는 33 + 3 + 3 = 39이고, 그 다음 수는 39 + 3 + 9 = 51, 다음 수는 51 + 5 + 1 = 57이다. 이런식으로 다음과 같은 수열을 만들 수 있다. 33, 39, 51, 57, 69, 84, 96, 111, 114, 120, 123, 129, 141, ...n을 d(n)의 생성자라고 한다. 위의 수열에서 33은 39의 생성자이고, 39는 51의..
더보기
7/17 일_코딩 테스트 연습(Python)
1. 얕은 복사, 깊은 복사 - 얕은 복사: a를 b로 복사했을 때 a, b는 같은 메모리 주소를 사용함 - =로 복사 → a, b 중 하나의 값을 변경해도 같은 곳을 가리키기 때문에 a, b 변수가 동일하게 바뀜 - 깊은 복사 : a를 b로 복사했을 때 a, b는 서로 다른 메모리 주소를 가리킴 - .copy() 메서드(리스트 복사) 혹은 copy 모듈의 copy.deepcopy() 함수(다차원 배열 복사)로 복사 → a, b 변수가 독립적임 원본 = [45, 73, 66, 87, 92] print('원본:', 원본) 얕은복사 = 원본 얕은복사[0] = 1111 # 사본, 원본 같이 바뀜 깊은복사 = 원본.copy() 깊은복사[0] = 555 # 사본만 바뀜 print(f'얕은복사: {얕은복사}', f..
더보기